Innovative Small Modular Reactor
Development Agency
Innovative Small Modular Reactor
Development Agency

SCROLL
[25.10.2] 대륙 간 SMR 기술 파트너쉽 체결
[25.10.1] 앨버타州, Xe-100 SMR 배치 타당성 확인
[25.9.30] 우즈베키스탄, VVER-1000 2기와 SMR 2기 건설 추진
[25.9.29] 美 캔자스州, Natrium™ 원자로 배치 검토
[25.9.26] 불가리아, BWRX-300 SMR 도입 추진
[25.9.24] 크로아티아, SMR 도입 고려
[25.9.23] Aecon社, 에스토니아와 SMR 프로젝트 협력
[25.9.22] Deep Fission, 지하에 설치하는 SMR 개발


Media Room
[25.9.18] 혁신형 SMR 기술개발사업단, 튀르키예 원자력산업협회(NIATR)와 SMR 협력 MOU 체결
○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단은 9월 18일, 프랑스 앙티브에서 개최되는 ICAPP* 2025 현장에서 튀르키예 원자력산업협회(NIATR, Nuclear Industry Association of Türkiye)와 소형모듈원자로(SMR)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(MOU)를 체결하였다. *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dvances in Nuclear Power Plants ○ 튀르키예는 2035년까지 대형원전 12GW, 2050년까지 20GW의 원전 전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, 2050년까지 총 5GW 규모의 SMR 도입도 추진 중이다. ○ 튀르키예는 원자력 산업에서의 러시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미국, 한국, 중국 등 다양한 국가와의 협력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. ○ 이번 MOU는 튀르키예 및 중동·북아프리카(MENA) 지역에서의 i-SMR 기술의 도입·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. ○ 양 기관은 △이해관계자 협력 및 사업개발 지원 △튀르키예 내 SMR 프로젝트 공동 추진 △제조 및 공급망 협력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.
[25.9.8~11] NECX 2025 (미국, 애틀란타) 참가
○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단은 9월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린 ‘NECX 2025(Nuclear Energy Conference & Expo)’에 참가해 i-SMR 전시관을 운영하고 기술을 소개하였다.
[25.7.1.~2.] NPPES 2025 (이스탄불, 튀르키예) 참가
○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단은 7월 1일부터 2일까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‘NPPES 2025(Nuclear Power Plants Expo & Summit)’에 참가해 i-SMR 전시관을 운영하고 기술을 소개하였다. ○ 또한, 김한곤 단장은 컨퍼런스 세션에서 i-SMR의 개발 현황과 비전을 발표하였다.
'25년도 상반기 i-SMR 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비 관리 실무자 워크숍 개최
i-SMR기술개발사업단은 2025.4.1.(화) 대전 인터시티호텔 에메랄드홀에서 i-SMR기술개발사업 연구참여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연구과제관리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자 "'25년도 상반기 i-SMR 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비 관리 실무자 워크숍"을 개최하였다. 금번 워크숍에는 전년과 동일하게 연구참여기관 실무자 약 70여명이 참석하였으며, 범부처연구비지원시스템(IRIS) 사용 및 협약 변경 절차, 범부처연구비통합관리시스템(Ezbaro,RCMS) 집행등록 및 사용자 교육, 연구 윤리 교육, 연구개발비 사용 및 회계 교육과 i-SMR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관리 전반에 대한 질의응답 및 건의사항을 수렴하였다.
[24.1.3] 부산외국어대학교와 산학 업무협력 협약(MOU) 체결
○ 사업단은 부산외국어대학교(총장 장순흥)와 양 기관의 상호발전을 위한 산학업무 협조체제 구축을 합의하는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함. ○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다음의 사항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함. - 양 기관 상호 연계체제 확립 - 현장실습 및 견학 - 인적·물리적 지원 - 기타 양 기관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교류
[24.12.16.~18.] 2024 APRO Open Lab 행사 참가
○ 2024년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세종정부청사 체육관 다목적홀에서 개최된 APRO Open Lab 행사에 i-SMR 홍보관 운영
[25.7.23] [199회] 과학으로 보는 세상 SEE "新에너지 해법, 소형모듈원자로"/대전 KBS1 TV
[199회] 과학으로 보는 세상 SEE "新에너지 해법, 소형모듈원자로"/대전 KBS1 TV
[25.6.4] 경북도, 경주 SMR 국가산단 추진 박차 (파이낸셜 뉴스)
.
[25.3.28] 김한곤 i-SMR기술사업단 단장 - 다시 쓰는 원전 수출 성공의 역사(포브스 코리아 4월호)
[24.11.29] 글로벌 시장 노리는 ‘i-SMR’, 산업R&D대전에 등장
[24.10.30] K-원전 세상을 밝히다! / KTV
[24.10.17.] 탄소도 줄이고, 미래도 챙긴다…"K-원전 수출 가능성 커져"
[25.10.2] 대륙 간 SMR 기술 파트너쉽 체결
대륙 간 SMR 기술 파트너쉽 체결 ○ 미국의 Oklo Inc.와 스웨덴의 Blykalla社가 기술 및 공급망 협력, 규제 지식 공유에 중점을 둔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함. ○ 공동 기술 개발 협약에 따라 Oklo와 Blykalla는 미국과 스웨덴 전역에서 재료, 부품, 공급망 강화, 연료 제조, 인허가 사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비용과 리스크 감소 효과를 기대함. ○ 2013년 KTH 왕립 공과대학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Blykalla는 55MWe급 SEALER 납 냉각 SMR을 개발하고 있음. ○ Oklo는 75MWe급 나트륨 냉각 고속로 기술 기반의 Aurora를 개발하고 있으며, 산업, 국방 및 데이터 센터에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에서의 배치에 주력하고 있음. (출처 : World Nuclear News, 2025.09.30.)
[25.10.1] 앨버타州, Xe-100 SMR 배치 타당성 확인
앨버타州, Xe-100 SMR 배치 타당성 확인 ○ X-energy Canada는 앨버타州의 기존 화력발전소 부지에 Xe-100 SMR을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함. ○ 이 조사는 앨버타주 정부의 자금 지원을 통해 TransAlta, Hatch, PCL, 및 Kinectrics와 함께 수행됨. ○ 조사 결과에 따르면, Xe-100의 특성이 앨버타의 에너지 수요에 적합하며, 특히 앨버타의 석유・가스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. ○ 현재 앨버타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없으나, 2021년 주 정부는 SMR 개발에 협력하기 위해 온타리오, 뉴브런즈윅, 서스캐처원과 MoU를 체결했으며, 여러 SMR 개발사들과도 MoU를 체결함. ○ X-energy Canada는 X-energy Reactor Company의 자회사임. (출처 : World Nuclear News, 2025.09.26.)
[25.9.30] 우즈베키스탄, VVER-1000 2기와 SMR 2기 건설 추진
우즈베키스탄, VVER-1000 2기와 SMR 2기 건설 추진 ○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세계 원자력 주간 국제 포럼(World Atomic Week International Forum)에서 우즈베키스탄에 VVER-1000 2기와 SMR 2기의 건설을 추진하는 협정을 체결함. ○ 양측은 “프로젝트 이행을 위한 주요 조건에 관한 협정(Agreement on Key Terms for Project Implementation”에 대한 보충 협정에 합의하였으며, 이 합의에 따라 당초 최대 6기의 SMR 도입 계획을 VVER-1000 원자로 2기와 55MW급 SMR 2기로 변경함. ○ 우즈베키스탄은 SMR 프로젝트 개발을 올해 말까지 완료하여 2026년에 착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. ○ 한편, 이 포럼에서 러시아는 베트남과 닌투언-1(Ninh Thuan-1) 원전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를 비롯한 상호 협력에 관한 협정을 체결함. (출처 : World Nuclear News, 2025.09.29.)
[25.9.29] 美 캔자스州, Natrium™ 원자로 배치 검토
美 캔자스州, Natrium™ 원자로 배치 검토 ○ 캔자스 주정부는 TerraPower의 Natrium™ 원자로와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캔자스주 내에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임. ○ 캔자스 시티에 본사를 둔 전력회사 Energy社와 캔자스 주정부, TerraPower가 서명한 MoU를 통해 Energy社 소유 부지의 부지 특성과 배치 타당성에 대한 평가가 진행될 것임. ○ Evergy는 캔자스주 전기의 약 17%를 공급하는 울프 크릭(Wolf Creek) 우너자력 발전소의 대주주임. ○ 2024년 와이오밍주 케머러(Kemmerer)에 Natrium™ 첫 호기의 건설을 시작한 TerraPower는 영국에서의 Natrium™ 배치 협력을 위해 엔지니어링 솔루션 기업인 KBR과 전략적 제휴를 맺음. ○ 또한, TerraPower는 지난 1월 Sabey Data Centers와 MoU를 체결하여 로키 산맥 지역과 텍사스주 내 데이터 센터에 Natrium™을 배치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함. (출처 : World Nuclear News, 2025.09.24.)
[25.9.26] 불가리아, BWRX-300 SMR 도입 추진
불가리아, BWRX-300 SMR 도입 추진 ○ 불가리아 정부는 뉴욕에서 GE Vernova Hitachi와 BWRX-300 SMR의 도입에 대한 회담을 가짐. ○ 불가리아는 작년에 GE Vernova Hitachi와 BWRX-300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음. ○ 루마니아의 코즐로두이(Kozloduy) 원전에는 VVER-1000 원자로 2기가 운영 중이며, 이들은 불가리아 전력의 약 3분의 1을 공급하고 있음. ○ 미국과 불가리아는 2024년 초에 코즐로두이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포함한 불가리아의 민간 원자력 프로그램 개발에 협력하기 위한 정부 간 협정을 체결하였으며, 11월에 현대건설 및 웨스팅하우스와 엔지니어링 계약을 체결함. (출처 : World Nuclear News, 2025.09.25.)
[25.9.24] 크로아티아, SMR 도입 고려
크로아티아, SMR 도입 고려 ○ 크로아티아 에너지 전문가인 이비차 야키치(Ivica Jakić)는 언론 인터뷰에서 크로아티아가 최소 3기의 SMR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힘. ○ SMR을 이용하는 분산형 전력 모델은 장거리 전력 전송의 필요성을 줄이고 크로아티아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게 될 것임. ○ 크로아티아 정부는 지난 2월,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규제기관 설립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원자력 에너지 실무 그룹을 설립함. ○ 크로아티아는 이미 슬로베니아와 공동으로 크르슈코(Krško) 원전을 운영하고 있으며, 그곳에 제2호기를 건설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임. (출처 :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, 2025.09.23.)

